자본주의 시대 시청 1순위 다큐 EBS 5부작 '자본주의'를 보고 정리해봅니다 :)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ace/large/071.png)
EBS 자본주의
1부. 돈은 빚이다
What is capitalism?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어려운 자본주의를 설명하기 위해 우선,
돈이란 무엇인가?
돈이란 무엇일까. 돈을 설명하기 위해 물가부터 살펴보자
물가는 왜 오르기만 하는가?
- > 돈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통화량 증가).
찍어낸 돈보다 훨씬 많은 양의 돈이 시중에 있기 때문에 물가는 계속 오른다.
How?
어떻게 찍어낸 돈보다 더 많은 돈이 현실에 있는 것일까?
—> 대출을 해주기 때문
누군가 예금을 하면 은행은 법으로 정한 최소한의 지급준비금(율), 즉 법정지급준비금만을 보유하고 나머지를 대출해준다.
한국은 평균 3.5%내외의 지급준비율을 사용한다.(2010기준)
2021 기준 현재 법정지급준비율은 7%다.
3.5%의 지급준비율은 5천억원을 6조60억원으로 만든다.
예금한 돈을 대출해주고, 그 중 일부를 쓰고 다시 예금을 하면 그 돈을 다시 대출해주고 x무한반복 하며
실제의 돈보다 더 많은 돈이 시장에서 쓰이는 것이다.
따라서, 대출을 해야 은행은 돈이 생기므로 계속 대출을 권유하는 것.
은행은 무엇인가?
What bank do?
- They make money with other people' money
여기서 생기는 의문점은 그러면 한꺼번에 돈을 맡긴 사람들이 돈을 찾으러 온다면?? 은행은 그 돈을 줄 수가 없다. 실제 돈이 아니었으므로.
이게 바로 Bank run이다. 은행에 돈을 맡긴 사람들이 돈을 동시에 찾으러 오는 현상. Bank run이 발생하면 은행은 파산한다.
(그럴 일은 드문일이므로 참고만 하자)
대출을 하면 이자가 발생 -> 이자를 갚기 위해 더 많은 대출 -> 통화량을 팽창시키고 통화의 가치를 떨어트린다. --->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ㅇ 인플레이션(통화팽창) :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오르는 경제현상
이자를 갚으려면 누군가의 대출금을 가져오는 것. 과도한 인플레이션으로 돈이 적게 돌면 누군가는 이자를 갚을 수 없어 파산한다.(빚 보존 법칙)
자본주의 사회의 경쟁은 필연적
그렇기에 자본주의 사회의 경쟁은 필연적이다. 살아남으려면, 파산하지 않으려면 누군가의 돈을 가져와야하고 경쟁해야하기 때문에.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전부란 말이 여기서 나오고 우리의 경쟁이 여기서 시작되는 것이다.
이러한 파산이 연속으로 발생 -> 통화량 감소 -> 돈이 부족해 대량 부도 사태 -> 통화량 계속 감소
--> 디플레이션 발생
ㅇ 디플레이션 : 통화량의 축소로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가 침체하는 현상
인플레이션 후 디플레이션은 숙명. 호황은 진짜 돈이 아닌 빚으로 쌓아올린 것이므로.
물가안정화를위해 통화량을 조절하는 건 매우중요⭐️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조절하기 위해 크게 2가지의 권한 존재
1. 이자율 통제
2. 화폐발행
* 양적완화 : 중앙은행이 화폐를 찍어 통화량을 늘림으로써 경기방어와 신용경색을 해소하는 정책
->기준금리를 내려도 효과가없을때 직접 화폐발행
현재 기축통화는 DOLLAR💵
미국정부가 아닌 연방준비은행(FRB)에서 달러를 발행한다.
ㅇ FRB(the Federal Reserve System) : 12개의 지역 연방준비은행과 약 4800개의 일반은행이 회원으로 가입된 은행
미국만큼 경제적으로 큰 나라가 없기에, 싫든 좋든 현재의 기축통화는 달러이며 그렇기에 미국이 경제의 중심이다.
'경제,주식 > 경제,부동산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자본주의 5부(끝). 국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정리 (0) | 2021.08.11 |
---|---|
EBS 자본주의 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정리 (0) | 2021.08.10 |
EBS 자본주의 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정리 (0) | 2021.08.09 |
EBS 자본주의 2부. 소비는 감정이다🤫 정리 (0) | 2021.08.08 |
마이 이더 월렛 만들기(생성법) 및 거래소에서 코인 옮기는 방법 (1) | 2021.08.02 |